본문 바로가기
주제 없음

Redis 라이센스 변경

by Coarti 2024. 3. 26.

NoSQL 중 Key-Value Database 형태인 Redis의 라이센스가 BSD에서 RSALv2, SSPLv1 이중 라이센스로 변경되었다

즉, 무료에서 유료로 바뀐것이다. 이유는 상업적로 이용하여 이득을 취하지만 오픈소스에 기여하지 않는 이용자를 제한하기 위함이다. 그만큼 Redis가 많이 이용되고 클라우드 기업에 영향력이 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대표적으로 Microsoft(Azure), Amazon(AWS), Google(Google Cloud)에서 사용한다.

 

그런데 MS는 Redis의 발표 이틀전 오픈소스(OSS) Garnet을 출시했다. 아마 이미 소식을 알고 준비하고 있던듯 하다. 출시하긴 했으나 기존의 있던 데이터를 옮기는 것은 위험부담일테니 변경된 라이센스에 대해 계약을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

 

7.2버전 이후인 7.4버전부터 적용된다고 한다.

이러한 변화는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클라우드 서비스 환경으로 바뀌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추측한다. 

 

그렇다면 대안은 없을까?

Redis만이 Key-Value DB 특성을 갖는 것은아니다. Oracle Bereley, AWS DynamoDB 등도 선택지가 될 수 있다.

성능, 제공하는 기능, 관련 자료 수의 차이는 있겠으나 찾아보는 것도 의미있을 것이다.

 

이번 사건으로 리차드 스톨만의 개방과 공유 정신을 보고 오픈소스가 있었기에 개발자들이 성장하고 문화가 만들어졌음을 느낄수 있었다. 그리고 라이센스 종류가 정말 많다는 것도 세삼느끼게 되었다

728x90

'주제 없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06.03  (0) 2024.06.03
신입 개발자 VS 코드 생성 AI  (0) 2024.05.06
독감이야기 (2)  (2) 2024.01.11
독감 이야기 (1)  (1) 2024.01.05
WEB GPU  (0) 2023.11.13